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0

사주 정관(正官) 뜻 특징 사주 재성 중 정관(正官) 뜻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관(正官)은 '바른 벼슬'이라는 뜻으로, 올바른 자리, 직장, 직책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사주에 정관(正官)이 있으면, 관직생활을 하며, 안정적이며, 돈과 명예를 추구하는 십성으로 풀이했습니다. 정관(正官) 한자 뜻으로, '바를 정(正), 벼슬 관(官)' 이라는 의미로, 일간인 나를 극(剋)하는 기운으로, 음양이 다른 글자입니다. 육친으로는 남자에게는 자식, 여자에게는 남편을 나타냅니다. 관성(정관, 편관)은 일간인 나의 활동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법, 제도, 윤리, 정의, 규칙등 일간의 입장에서는 지키고, 따라야 하는 질서나 법칙을 의미합니다. 사회적 제도를 넘어서서, 회사, 직장, 조직, 단체, 가게(손님)도 관성이 될 수.. 2024. 4. 23.
사주 편재(偏財) 뜻 특징 사주 재성 중 편재(偏財) 뜻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편재(偏財)는 한쪽으로 치우친 재물이라는 뜻으로, 위험한 투자, 투기, 로또, 복권, 주식, 펀드, 코인, 도박등으로 얻게 되는 돈과 같습니다. 과감하고, 거침없는 기운으로, 모험과 도전정신이 강합니다. 편재(偏財) 한자 뜻으로, 치우칠 편(偏), 재물 재(財) 로써, 일간인 나를 극(剋)하며, 음양이 같은 오행을 의미합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재물, 돈이라는 의미로, 과감하고, 거침없는 재물활동을 합니다. 정재는 내가 가지고 있는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재물이라면, 편재(偏財)는 내 것이 아닌 재물, 비정기적인 수입, 투기, 모험, 실험정신, 네트워크 사업등을 의미합니다. 정재가 대기업 직장인이라면, 편재는 투자자, 사업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024. 4. 22.
사주 정재(正財) 뜻 특징 사주 재성 중 정재(正財) 뜻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재(正財)는 '정당한 재물'이라는 뜻으로, 안정적인 재물 활동, 즉 월급처럼 매달 따박따박 들어오는 돈과 같습니다. 사주에 정재(正財)가 있는 사람은 현실적이며, 부지런하고, 성실한 사람이 많습니다. 정재(正財) 정재는 한자 뜻으로, '바를 정(正), 재물 재(財)'라고 해서, '안정적이고, 올바른 재물, 돈'이라는 의미 합니다. 대기업, 공무원과 같은 안정적인 직장의 월급, 안정적인 투자, 대출 없는 본인 소유 부동산, 매달 받는 연금, 상가 월세, 현금 자산, 금, 귀금속 등이 정재에 해당됩니다. 정재(正財)는 일간(나)을 극(剋)하며, 오행이 다른 글자입니다. 일간을 극(剋)한다는 것은 '누른다, 통제한다, 관리한다.'는 뜻으로, 현실적.. 2024. 4. 21.
사주 편인(偏印) 뜻 특징 사주 십성 중 편인(偏印)의 뜻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편인(偏印)은 한쪽으로 치우친 에너지로써, 다소 오타쿠적인 성향을 보이지만,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상상력과 세계관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해석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많습니다. 편인(偏印) 편인 뜻은 한자로 '치우칠 편(偏), 도장 인(印)'이라고 하여, 한쪽으로 치우친 자격, 환경, 기운을 의미합니다. 사주에서 인성은 나를 생(生)하는 기운입니다. 정인(正印)은 음양이 다른 오행으로, 100% 나를 도와주는 기운이라면, 편인(偏印)은 음양이 같은 오행으로, 50% 정도만 나를 도와줍니다. 육친으로, 정인(正印)이 어머니라면, 편인(偏印)은 계모, 이모, 고모, 엄마를 대신해서 나를 돌봐주는 사람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내가 완전히 의지.. 2024. 4. 16.
사주 정인(正印) 뜻 특징 사주 십신론에서 정인(正印)의 뜻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인(正印)은 '바를 정, 도장 인'이라고 하여, 바른 도장 즉, 나의 정당한 자격을 의미합니다. 일간인 나를 도와주는 기운으로써, 사주에 정인이 있으면, 인복이 많고, 자존감이 강해집니다. 정인(正印) 정인 뜻: 바를 정(正), 도장 인(印), 바른 도장, 즉 인감도장을 나타내며, 나의 올바른 자격, 힘, 어머니등을 의미합니다. 일간인 나를 생(生)하며, 음양이 다른 오행입니다. 편관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며, 나를 전적으로 지원해 주는 기운입니다. 정인(正印)은 십신 중 인성에 해당되며, 조건 없이 나를 도와주는 어머니와 같은 기운을 뜻합니다. 음양이 다르므로,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으며, 따뜻한 정(情)과도 같습니다. 인성에는 편인과 정.. 2024. 4. 15.
오미합(午未合) 사주 궁합 사주 육합 중 오미합(午未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육합(六合)은 남녀 간의 궁합, 부부합을 보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데, 오미합은 육합중에서 가장 근거리의 합(合)으로써, 연애보다는 나와 가까운 친구와 같은 관계라고 볼 수있습니다. 육합(六合) 육합(六合)은 서로 강하게 끌어당기는 힘으로써, 남녀 궁합 및 부부합으로 불립니다. 사주에 육합이 성립되면, 특별한 이유 없이 상대방에게 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없이 그 사람이 좋고, 남들이 느끼지 못한 이성적인 매력을 느끼게 됩니다. 육합이 성립된 남녀가 만나면, 쉽게 헤어지기 어려우며, 오랫동안 만남이 지속됩니다. 과거에는 부부간의 합으로, 좋게 풀이되었지만, 좋든, 싫든 함께 해야 되니, 무조건 좋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육합의 종류에는 인해합, 묘술.. 2024. 4. 14.
사신합(巳申合) 사주 궁합 사주 육합 중 사신합(巳申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신합은 사화(巳火)와 신금(申金)의 만남으로 불과 금의 합(合)입니다. 남녀 궁합 및 사회적 관계에 모두 해당되는 합(合)으로, 쌍방간의 노력과 희생, 배려가 함께 할 때 관계가 아름답게 지속됩니다. 육합(六合)은 음양이 다른 남녀가 만나서, 이성적 강한 끌림을 느끼거나, 사사로운 정(情)에 이끌려, 오랫동안 관계가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육합(六合)의 종류에는 인해합, 묘술합, 진유합, 사신합, 오미합, 자축합이 있습니다. 오미합과 자축합은 근거리 합(合)으로, 이성적 관계보다는 친구나 선후배, 동료등의 관계에 가깝다면, 인해합, 묘술합, 진유합, 사신합은 남녀궁합, 부부합에 가까운 육합(六合)입니다. 사신합(巳申合) 사신합(巳申合)은 인사신(.. 2024. 4. 13.
자축합(子丑合) 사주 궁합 사주 육합(六合) 중 자축합(子丑合) 사주 궁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축합은 자수와 축토의 만남으로, 한겨울에 해당되는 글자의 합(合)으로써, 정적이고, 조용한 만남으로, 이성적 발전 및 연인, 부부관계로 이어지기에는 다소 약한 합(合)입니다. 자축합(子丑合)은 지지 육합(六合) 중 하나로써, 해자축(亥子丑)이라는 겨울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같은 동네, 학교, 지역 출신의 합(合)으로써, 친밀감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토극수(土剋水)로 인해, 축토가 자수에게 적극성을 보이며, 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육합(六合)은 남녀 간의 궁합이나, 부부의 합으로 해석되지만, 자축합(子丑合) 이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둘 다, 정적이고, 내성적인 성향으로, 말없이 붙어 다니는 친구나 동료관계에 더.. 2024. 4. 12.
반응형